상품설명

조선숙종(肅宗말년에 김제겸(金濟謙, 1680-1722)과 성효기(成孝基, 1701-?)가 편찬한 불분권(不分卷) 1책의 운서(韻書)이다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최초의 운서는 [삼운통고]이다. 1702(숙종 28)에 박두세가 [삼운통고]의 자수를 증보하고 상세한 자해를 붙여서 [삼운보유]를 편찬하였, [삼운보유]를 다시 증보한 것이 [증보삼운통고]이다.

편자 김제겸은 1680(숙종 6)에서 1722(경종 2)까지의 인물로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 1648-1722)이며 공동 편자인 성효기는 1701(숙종 27)에 성몽규(成夢奎)의 아들로 부제학을 지낸 성이문(成以文, 1546-1618)의 서손(庶孫)이다

인쇄되어 있는 책 옆면 세로 끝 부분 일부가 닿아 없어져서 일부분을 필사로 표기를 하였는데 대략 7장이며 권말에 일부 결실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면지에는 많은 분량을 필사하였는데 콩으로 치료하는 소두치험(小豆治驗), 대황으로 병을 치료하는 대황치험(大黃治驗등 다양한 한의학 치료법이 수록되어 있다.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3_8559.jpg

28f6f02083bbbe6feae41fc2f55c225f_1660695698_965.jpg
28f6f02083bbbe6feae41fc2f55c225f_1660695699_1117.jpg
28f6f02083bbbe6feae41fc2f55c225f_1660695699_2448.jpg
28f6f02083bbbe6feae41fc2f55c225f_1660695699_4221.jpg
28f6f02083bbbe6feae41fc2f55c225f_1660695699_6022.jpg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3_9973.jpg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4_1201.jpg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4_244.jpg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4_3726.jpg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4_5102.jpg 

9b3f7cdb7a30258a4e382c0aa566b767_1659594214_6466.jpg

상품 정보 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