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50년대 이후 한 시대를 풍미한 문학인으로 희곡을 비롯하여 소설·시나리오·평론·콩트·수필 등 그의 다양한 문학작품을 망라하고 있다. 그밖에 그와 관련된 원고, 서신, 사진, 문서 등이 담겨 있다.
○ 소설 30종 1,340여매
1) 소설 [끌], 23쪽
2) 소설 [당진의 핏빛 하늘], 4매(게재(揭載)한 것을 부분절취)
3) 소설 [背反者(앞면), 文化隨想二題(뒷면)] 스크랩, 1매
4) 소설 [부산으로 온 이야기(앞면), 청년의 아픔과 슬픔(뒷면)] 원고, 24매
5) 소설 [사랑 이야기] 원고, 52매
6) 소설 [삼국의 시조들] 원고, 2묶음 총10매([새마을금고]에 게재(揭載)한 소설을 보충한 자료임)
7) 소설 [삼국의 후계자들 2~4] 원고, 7묶음 총 64매([새마을금고]에 게재(揭載)한 소설을 보충한 자료임)
8) 소설 [수호지 1], 40장(장명훈 소설임)
9) 소설 [앵무새 한 쌍], 6쪽
10) 소설 [윤회의 핏빛 하늘 1] 원고, 14매
11) 소설 [조선왕조열전 3~4,6~21,33~43] 원고, 29묶음, 총237매와 신문 스크랩
12) 소설 [소년의 비애] 원고, 93매
13) 소설 [삼국사의 인물들 2~6] 원고, 210여매
14) 소설 [無題 : 겨울이 되어...] 원고, 12매
15) 소설 [李斯와 韓非] 원고, 101매
16) 소설 [미망인 야화] 원고, 109매
17) 소설 [마지막독백] 원고, 70매
18) 소설 [이렇게 삽시다] 원고, 9매
19) 소설 [여섯 가지의 질투 이야기] 원고, 33매
20~29) 소설 [팔녀도] 등 프린터 등, 10종
30) 소설 [화상여 花喪輿] 일본어 번역 원고, 230매
○ 시나리오 17종 1,420여매
1) 시나리오 [만다라 : 金聖東의 同名小說에서] 스크랩, 15장
2) 시나리오 [사랑 그 아픔] 원고 복사, 292매
3) 시나리오 [사랑으로 만나며] 원고 복사, 285매
4) 시나리오 [사직서], 12쪽(라디오 드라마)
5) 시나리오 [체험적 시나리오 작법], 55쪽
6) 시나리오 [鶴, 외다리로 서다] 원고, 74매
7) 시나리오 [無題 : 스터-납 보병 중대장] 원고, 160여매
8) 시나리오 [사건 뒤에 있는 곳] 원고, 78매
9) 시나리오 [背敎記] 원고, 198매
10) 시나리오 [無題 : 히쭉이] 원고, 57매
11) 시나리오 [내 가슴속 깊은 곳에] 원고, 20매
12) 시나리오 [메아리] 원고, 20매
13) 시나리오 [작의] 원고, 10매
14) 시나리오 [無題 : 토롯트] 원고, 154매(앞17매 낙장)
15) 시나리오 [희망의 거리], 34쪽
16) 시나리오 [감투 좋을시고], 20쪽
17) 시나리오 [원효대사의 절대 자유정신], 19쪽
○ 희곡과 희곡관련자료 46종 1,640여매
1) 희곡 [가을바람의 노래], 38쪽
2) 희곡 [꽃수레 1막 10장], 166쪽
3) 희곡 [내기 장기], 49쪽
4) 희곡 [달․비․피리 3장], 30쪽([한국문학], 2008. 12.1게제)
5) 희곡 [만남 그 아픔], 18쪽([월간문학], 2003.4월 게제)
6) 희곡 [뮤지컬 플레이 젊은이들 1~2막], 56쪽([월간문학], 1989, 10~11월호 게제)
7) 희곡 [三幕 夏~秋] 원고, 131매, 일본어
8) 희곡 [세종대왕], 68쪽
9) 희곡 [스케치 1], 2006, 8쪽
10) 희곡 [씨앗을 보면 돌부처도], 13쪽
11) 희곡 [오직마음뿐 1막], 17쪽
12) 희곡 [인간시장 5장(상~하)], 54쪽([탐미문학] 1999, 춘계 게제)
13) 희곡 [장한몽 상~하], 38쪽 20매
14) 희곡 [젊은 山울림 1막 2장], 67쪽
15) 희곡 [죽도 승부와 진검승부], 47쪽([한국문인, 2007, 4.5월호] 게재(揭載)한 것을 절취)
16) 희곡 [죽음의 문(死門)] 스크랩, 31쪽
17) 희곡 [지옥을 가다], 35쪽(불교문예 1998 봄호 게재(揭載)한 것을 절취분)
18) 희곡 [한 쌍의 은촛대], 22쪽(게재(揭載)한 것을 절취분)
19) 희곡 [감투 바람 2막19장] 복사자료, 50장
20) 희곡 [詩劇 : 月․雨․笛 3막] 원고, 91매
21) 희곡 [죄는 지은 데로, 덕은 닦은 데로(諸惡莫作 衆善奉行)] 원고, 30매
22) 희곡 [관세음보살님과 손오공] 원고, 34매(책 절취본)
23) 희곡 [無題 : 천신A] 원고, 45매(앞14매 낙장)
24) 희곡 [無題 제2막 : 다음날 이른 아침이다] 원고, 120여매
25) 희곡 [巫女圖 6장], 183쪽
26) 희곡 [처녀공출], 102쪽
27) 희곡 [巫女圖], 78쪽
27~36) 희곡 [자비의 눈물] 등 관련 자료, 9종
37) 희곡 [대사 없는 1막 전위극 뮤지컬사진] 필름 1점,
38) 하유상희곡집 [미풍 微風], 大榮出版社, 1961, 344쪽
39) 희곡 [청년 김대건] 개작원고, 228매
40) 성신극예술연구회 제2회 Work-shop 공연 [꽃상여] 연출계획과 무대설계도, 7장
41) 국립극단 제177회 정기공연 [꽃 그네] 팸플릿(1998), 18쪽
42) 극단 시민극장 제8회 송년대공연 [罪와 罰] 팸플릿(1982), 9장
43) 국립극단 제21회 新協公演 [罪와 罰] 리플릿, 2장
44) 국립극단 제4회 대공연 [딸들은 戀愛自由를 謳歌하다](1957), 리플릿, 2장
45) 국립극단 제22회 新協公演 [미풍 微風](1957), 리플릿, 2장
46) 연극 영화관련 [신문 포스터] 스크랩북(1957~1965), 21장
○ 꽁트 31종 180여매
1) 꽁트 [4월의 옥상정원에서], 2쪽
2) 꽁트 [6월의 연인들], 2쪽
3) 꽁트 [내일, 애 오데버트 처럼], 5쪽
4) 꽁트 [맞선타령] 스크랩, 1매
5) 꽁트 [미안해요] 원고, 20매
6) 꽁트 [불교 꽁트 2제], 11쪽(2부)
7) 꽁트 [살인 혐의], 2쪽
8) 꽁트 [센치멘탈 Y양], 4쪽
9) 꽁트 [十牛圖], 6쪽(2부)
10) 꽁트 [아파트의 밤12시] 원고, 20매
11) 꽁트 [어떤 죽음], 4장 3부(신문 스크랩과 복사물 포함)
12) 꽁트 [연인후보], 4쪽(4부)
13) 꽁트 [위에 또 위], 5쪽
14) 꽁트 [유혹의 덫], 3쪽
15) 꽁트 [이혼], 2매([새마을], 1994. 5월 게제)
16) 꽁트 [입사시험 상경기] 원고, 20매
17) 꽁트 [中東에서 온 인형], 1쪽
18) 꽁트 [충무로 스케치], 5쪽([밀물], 1990.7월게제)
19) 꽁트 [취직타령], 2쪽
20) 꽁트 [어느 부부의 정초 스케치] 원고, 13매
21) 꽁트 [쪼매만 기다리거레이] 원고, 16매
22) 꽁트 [면접연습] 원고, 21매
23) 꽁트 [無題 : 우리 결혼만] 원고, 3매
24~31) 꽁트 [월요일 아침] 등, 7종 33장
○ 평론, 5종 81매
1) 평론 [선악의 갈등], 1매([주간독서], 1981.11.1. 게제)
2) 평론 [作品以前의 시나리오 氾濫], 3쪽([영화예술], 1970년 12월호 게제)
3) 평론 [지킬 박사와 하어드씨], 1매([주간독서], 1981.11.1. 게제)
4) 평론 [아기자기한 중국 고전소설의 재미] 원고, 59매
5) 평론 [실종 이야기(失踪の話)] 일본어 원고, 18매
○ 수필. 수기 등, 5종 48매
1) 수필 [성현과 인생], 22쪽
2) 수필 [성현의 적], 45쪽
3) 수필 [설날 절간에서 만난 소녀], 4쪽
4) 수기 [숱한 세월의 나이테] 원고, 12매
5) 동화 [코흘리개 시절 그리워], 1쪽
○ 스트랩북, 74종 167매
1) 영화 기자수첩 [피아골과 첫 시네마스코프 영화] 등, 10점 20장
2) 영화 에세이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에 대해서] 등, 5점 10장
3) 동화 [별], 1점 4장(부본1점)
4) 꽁트 [욕망의 덫 외1편] 등, 44점 93장
5) 단편소설 [八字속], 1점 2장
6) 시나리오 [모정의 에밀레종] 등, 3점 22장
7) 영화평론과 논문 [동키호테와 햄릿이 한 여자를 사랑했다면] 등, 8점 14장
8) 기타 2점 2장
○ 기타 1, 38종 262매
1) [대전교양강습 벗] 주소록, 1946, 8매
2) [속담산책], 89장
3) 저작물 [메마른 정서를 윤택하게 함양] (1998) 원고, 5매
4) [세계 여배우의 발자취 1~2] 원고, 2묶음 18매
5) [자랑스러운 책] 원고, 15매
6) [칼럼 결혼 철에 즈음하여] 원고, 10매
7) [노래하자 젊은이여 졸업논문] 원고, 21매
8) [시어미가오래 살다가 며느리 ...] 원고, 8매
9) [일러두기] 원고, 1매
10) [作意] 원고, 1매
11) 기타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1장
12) 기타 [사슴나비가 상징하는 것] 등, 2장
13) 기타 [탐미문학상] 관련자료 등, 15종 68장
14) 기타 [잡문 및 유편] 등, 11종 15장
○ 기타 2(하유상과 관련 있는 사람들 자료), 11종 312매
1) 全益武의 [사례연구] 원고, 13매
2) 河志贊의 [전쟁중심의 이야기 인간사 1,12,13] 원고, 129매와 자료, 7쪽
3) 김운선 시 [채송화]와 [단풍] 원고, 4매
4) [‘90문인창작집발간지원 심의대상현황과 심의표](1990), 33매
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8년도 기본운영계획], 21장
6) 金在爀의 대종교 관련 자료 [만세불이지전 萬世不易之典]경자(1960), 76쪽
7) 제37차 세계작가대회준비위원회 [사무인계서](1970), 42장
8) 국제P.E.N한국본부 [제21회 정기총회보고서(12쪽)와 입회원서(1장)](1974)
9) 예술원 [藝術家名簿](1957) 복사본, 7장
10) 한국씨나리오작가협회 [會員名簿], 1장
11) 문화공보부 [民族記錄映畵製作對象候補素材 一覽表](1978), 26쪽
○ 기타 3(저자 관련 사진 서류 등), 611종 634매
1) 개인 [여권] 2점
2) 개인 [주민등록증과 포켓지갑] 1점
3) 개인 [주소 및 이력서] 5종 9장
4) 사진 [가족, 기타 사진], 502점
5) 사진 [대형 하유상과 가족] 3점
6) 사진 [현상필름], 5묶음 5점 12장
7) 서류 [출판관련 계약서] 등 4점 7장
8) 편지 [가족 및 일반 서신] 58점 58매
9) 편지 [가족서신] 30점 34장
10) [목포의 눈물] 고소장 1점 6장
○ 기타 4(상장과 증서 등) 12종 12매
1) [교사 임용장(1948)] 등, 2점
2) [한국신문예협회 선임장(1992)] 등, 3점
3) [국제펜클럽한국지부 자문위원 선임장(2001)] 1점
4) [한국불교문인협회 부회장 선임장(1990)] 등, 2점
5) [한국희곡작가협회 자문위원 선임장(1999)] 등, 3점
6) [제14회 黃喜문화예술상 소설부문 대상(2005)] 상장, 1점
7) [제5회 우리연극한마당 하유상연극제] 포스터(2002) 1점
* 하유상(河有祥)
본명은 하동렬(河東烈, 1928~2017) 충남 논산 출생. 대전공업 토목과를 거쳐 서라벌예대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다.
1954년 [협동]에 시나리오 [희망의 거리]가 당선되고, 이어 1956년 국립극장 제1회 장막희곡 모집에 [딸들의 연인](일명-딸들 자유연애를 구가하다)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희곡뿐만 아니라 소설, TV드라마에까지 작품의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작품세계는 환상적인 영혼의 대화와 유머, 페이소스로서 인생의 애환을 그리고 있다.
주요작품으로 희곡 [학 외다리로 서다](1964), [꽃상여](1972), [지상과 천국](1972) 등이 있으며 저서로 희곡집 [미풍](1961), [하유상 단막극집](1977), [하유상 장막극선](1994), [꽃을 이니셜로 한 희곡모음](1997), [젊은이들](2004) 등이 간행되었다.
이 밖에도 단편집 [꽃그네](1978), 방송극집 [행운](1964), 시나리오집 [하유상 시나리오선집](1980) 등과, 창작 입문서인 [시나리오 입문](1960), [라디오 텔레비드라마작법](1963), [극작법 15강](1965), [시나리오창작법](1966), [희곡론과 작법연구](1994), [시나리오의 이론과 실제](2004) 등을 발간하였다.
그는 [딸들 자유연애를 구가하다](1957)로부터 [여성만세](1965)에 이르는 초기에는 주로 남녀간의 애정문제를 통한 신‧구세대간의 대립과 갈등의 문제를 다루면서 동시에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1970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시기에는 한국전쟁이 파생시킨 가장 큰 피해상으로서의 경제적 궁핍이 전면에 노출되고 4‧19 혁명 이후의 정치적‧사회적 혼란이 단편적으로나마 다루어진다. 판자촌의 철거 위기에 직면한 상황을 다룬 [종착지](1961), 실직한 인텔리의 일상을 자조적인 재치로 엮은 [선의의 사람](1962), 양공주인 누나의 뒷바라지로 대학에 다니는 광식이 4‧19 혁명 데모행렬에 참가하였다가 순사한다는 이야기를 다룬 [절규](1964) 등이 그것이다.
이 밖에도 서민생활의 애환을 그린 작품으로는 [생활기](1968), [생명 동의](1973), [방문객](1977), [뻐꾸기 소리](1978) 등이 있다. 그가 추구하는 서민들의 삶은 그 모양이 다채롭고 방법도 다양하지만, 모두 단막극의 소품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사건들의 전개가 치밀하지 못하고 당시 사회상과의 전반적인 역학관계를 성립시키기에는 부족한 일면도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학 외다리로 서다]부터는 향토적 서정의 정감과 민족 심성의 근원을 주로 다루었으며 [꽃상여], [은장도](1979)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게 된다. 그 이후에는 뱀서방을 극화한 [넋](1986)을 비롯하여 [달, 비, 피리](1987), [자매의 전설](1988), [사랑 이야기](1988)를 통해 전설 혹은 민담을 중심으로 좀 더 민족 심성의 근원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신구세대의 갈등과 자유연애의 문제를 그리되, 그들간의 갈등이 따뜻한 동정과 해학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는 점도 특징적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 및 반품은 책을 받으신 후 7일 이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저희 고서향에서 판매중인 책들은 고서와 희귀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의 상태책정은 주관적인 부분으로 최소한의 참고용으로 안내해드리고 있으며,
고가의 서적인 경우 주문전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면 책의 상태를 좀 더 상세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잘못 주문하셨거나 배송후 주문취소를 하시면 왕복배송료를 제외한 도서대금만을 배상해드립니다.
상담시간 : 10 :00 ~ 18:00(월~금)
배송기간 : 2일 ~ 7일(영업일기준)
KB국민은행 598001-01-330943
예금주 / 주식회사 고서향
회사명. 주식회사 고서향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2길 23-3 (신설동) 2층
사업자 등록번호. 650-81-00745
대표. 오주홍
전화. 010-9065-7405
팩스. 031-938-337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7-고양덕양구-0485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오주홍
Copyright © 2016 주식회사 고서향.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