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9] 국악의 이론과 교육에 생애를 바친 선구자 기산(岐山) 박헌봉(朴憲鳳) 선생 친필원고 및 관계자료 일괄 > 제8회 고완관지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인기검색어

  1. 1고서
  2. 2역사
  3. 3소설
  4. 4미술
  5. 5철학
온라인경매(백개유익)사이트 바로가기
[599] 국악의 이론과 교육에 생애를 바친 선구자 기산(岐山) 박헌봉(朴憲鳳) 선생 친필원고 및 관계자료 일괄 > 제8회 고완관지

[599] 국악의 이론과 교육에 생애를 바친 선구자 기산(岐山) 박헌봉(朴憲鳳) 선생 친필원고 및 관계자료 일괄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연도 1950~90년대
사이즈 17.8x25.5cm 외
시작가 5,000,000원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1906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난 기산 박헌봉(1906~77) 선생은 일평생 국악의 보존과 발전, 그리고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전통 유가적 가풍 속에서 성장하며 한학을 익힌 선생은 1930년대 중반 상경하여 정악과 아악, 경서도(京西道) 가무 등 다양한 전통음악을 폭넓게 연구하였다.

해방 이후, 그는 국악건설본부를 창설해 국악 부흥 운동을 전개하며 새로운 시대의 문화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했다. 이러한 노력은 1960,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국악교육기관인 국악예술학교 설립으로 결실을 맺었다.

기산은 또한 한국국악협회 이사장, 국립극장 운영위원, 문화재위원, 예총 부이사장 등 문화예술 관련 주요 직책을 두루 맡으며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기여하였다. 그의 생애와 업적은 판소리, 창극, 단가 등을 아우르는 창악이론 연구와 국악교육 자료로 잘 남아 있으며, 사후에도 그의 사상과 실천은 국악계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자료는 기산 박헌봉 선생의 국악이론가 및 국악교육자로서의 업적을 조명하는 소중한 자료들로 구성되었다.

직접 친필한 창악이론, 판소리, 단가, 창극 관련 문헌 및 원고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기산선생이 전통 성악 분야에 남긴 학문적 성과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국악교육기관인 국악예술학교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도 함께 모아졌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60, 서울 종로구 관훈동에 세워진 이 학교는 민속악을 정식 교과과정에 포함시킨 획기적인 교육기관이었으며, 기산선생은 그 초대교장을 맡아 국악의 체계적인 교육 기반을 마련했다.

본 자료는 기산선생이 국악이론가, 국악교육자로서 1950년대를 시작으로 사후(死後)까지도 망라되어 있어 국악이론 정립과 국악 교육 제도화의 역사적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귀중한 근거 자료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기산 박헌봉 선생 원고자료

친필원고 [수궁가 水宮歌] 95매 묶음.
친필원고 [춘향가] 100여 매.

친필원고 [장부한(丈夫恨), 소상팔경(瀟湘八景), 역려가(逆旅歌), 죽장망혜(竹杖芒鞋) ] 51.

친필원고 [가참조(歌參照) 및 주해참조(註解參照)] 97.

기생들의 원적·성명·기예가 친필로 기록된 [경화권번·한남권번 漢南券番·京和劵番] 국악예술학교 원고지 18(20쪽까지 있으나, 9쪽과 13쪽 낙장).

명의회장·이사장·부이사장·이사 등 명단이 친필로 기재된 [한국국악협회] 1.

[국악사 國樂史] 국악예술학교 원고지 19.

친필원고 [인사말씀] 12.

친필원고 [결의문] 1~2쪽 결장으로 3~6, 갱지 세로글씨 4.

친필원고 [國樂名人], 가로로 긴 종이에 연필 세로글씨 2.

친필원고 [걸인군 乞人群] 갱지 24.

수상후보자(예술상) 박헌봉, 수상작품명 국악의 보존육성 및 발굴과 보급에 끼친 공적에 대한 [공적 개요 원고] 1965년 이후, 편지지 6.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 자료

이사 및 감사 취임승낙서(1958.11) 관련자료

- 재단법인국악학원 이사 문영회 취임승낙서.

- 문영회(文榮會, 1907~?) 이력서.

- 서울시 중구청장 발행 문영회 신원증명원(1958.12)

- 서울시 중부경찰서장 발행 문영회 신원조사회보.

- 이당 김은호(以堂金殷鎬,1892~1979) 재단법인국악학원 감사 취임승낙서.

임명장 전임강사 지영희 [사령 辭令] 1960.5.13.

- 지영희(池瑛熙, 1909~1979)는 대한민국의 전통음악가로 해금산조와 피리 시나위의 명인이다. 1960년대부터는 국악예술학교의 설립에 동참하여 후진을 양성하였고, 1966년에는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을 창설하여 초대상임지휘자로 취임하였다

한국국악예술학교 초대교장 재직 시 사진 및 행사 사진 총4장 일괄.

한국국악예술학교 설립자 본인(기산 선생)은 학교법인설립에 관한 일체 권한을 위임한다는 친필 위임장 1(1973.2).

- 본서에는 1973.1.17.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에서 박귀희(朴貴姬, 1921~1993)와 분쟁사건에 대한 합의를 박귀희가 지키지 않아 무효가 되었으니, 사후책에 대한 부탁도 추기(追記)되어 있다.

()國樂學園期成會 기부증서 양식 서식(1960)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1가 산일번지 국악예술학교 1960년대 미사용 봉피 1,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261번지 한국국악예술학교 대봉투 2매 일괄.

서신 자료

- 학술단체 대한시우회 대전대덕지회 발송, 서울특별시 남산 국악예술학교 내 박헌봉 수신 봉피. 1966 직인.

- 공보부 문화과 발송, 박헌봉 수신 봉피.

- 중앙국립극장 발송, 국악예술학교 박헌봉 수신 편지지 3(봉피).

- ()성남민속예술보존회 이사장 발신 [8회 지방발표공연 초청장] 1976.5, 봉피포함.

- 국악인 조남희(趙南姬) 수신 봉피.

- 국악예술학교 1960년대 서류봉투 2, ()한국국악협회 서류봉투, 공보부 발송 박헌봉 수신 봉투. 국악학교설립개교안 서류봉투

 

기산선생 신변자료

기산선생 등초본 3(1977.5).

기산선생 5언절구 한시작(漢詩作) [송석암하형우동경 送石巖河兄于東京], 종이에 먹.

[魯河亰君惟古肯皇 相南韓追大華生確] 33x122cm, 종이에 먹.

也東 吳福根[崇祖丹心在一誠 年年春草百花明] 묵서(庚午年).

舍弟 간찰.

朴問의 간찰(丁卯年).

친필 기도문 신장주(神將呪), 오행귀속도(五行歸屬圖), 고려당한의원 영수증(1968.6.22.) 일괄.

[선명증 選名證] 종이에 펜글씨.

祝壽筵 신세계 백화점 全忠植봉피, 근하신년 카드 申淳甲, 대한생명보험주식회사 발송 박헌봉 수신 봉투(1960년대) 일괄.

[온고화신 溫故和新], 1974, 목차제목이 1~22순위까지 기재되어 있으며, 제목에 따른 인쇄물이 함께 부착되어 있다.

사단법인 임우회(林友會) 관련 원고자료.

- [()임우회 총칙] 1970년대, 원고 2(16, 24).

북청 사람의 대명사’, ‘임업 시찰 및 88고속도로 관광실시 소식등을 비롯하여 총 10, 1984.9~1985.11, 연세대학교 원고지 사용.

기산선생에게 보고하는 회의 내용 서신, 뒷면에는 연필로 중머리필사.

아들 璟鎬에 대한 아비의 애달픈 마음을 필사한 내용 노트 31매 필사본, 1990년대.

 

교육 자료

한국음악자료총서 제7[대악후보이하 大樂後譜二下]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연구회, 1965.5, 90.

박헌봉 엮음 [民謠를 찾아서 가사 및 해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연구회, 1967.4, 202.

[열시조 列時調] 한지에 등사본, 7.

조선가요연구사 편 [精選 朝鮮歌謠集 第1] 등사본.

이상준(李尙俊) 京城三誠社 19293판 발행 등사본 [신유행창가 新流行唱歌], 58.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후원작 극단 가교(架橋)’ 지방순회공연 이승규(李昇珪) 연출 대본집 [서낭당] 83.

무형문화재(음악) 조사보고서(2) [가야금산조]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0.10., 61.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0_1537.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0_3632.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0_5447.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0_7214.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0_8626.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1_0437.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1_1634.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1_3208.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1_4513.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7_1979.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7_4572.jpg
aa08d5e5a1364ff21b6d44fc80252808_1746765437_6822.jpg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배송조회 버튼을 클릭하시면 주문하신 상품에 대한 현재 상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이신 경우는 로그인, 비 회원으로 구매하신 경우는 주문번호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환/반품

   교환 및 반품은 책을 받으신 후 7일 이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저희 고서향에서 판매중인 책들은 고서와 희귀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의 상태책정은 주관적인 부분으로 최소한의 참고용으로 안내해드리고 있으며,

   고가의 서적인 경우 주문전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면 책의 상태를 좀 더 상세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잘못 주문하셨거나 배송후 주문취소를 하시면 왕복배송료를 제외한 도서대금만을 배상해드립니다.   

고객센터

010-5679-2042

상담시간 : 10 :00 ~ 18:00(월~금)
배송기간 : 2일 ~ 7일(영업일기준)

무통장입금안내

KB국민은행 598001-01-330943
예금주 / 주식회사 고서향

주식회사 고서향

회사명. 주식회사 고서향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2길 23-3 (신설동) 2층
사업자 등록번호. 650-81-00745 대표. 오주홍 전화. 010-9065-7405 팩스. 031-938-337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7-고양덕양구-0485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오주홍


Copyright © 2016 주식회사 고서향.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